![[전북이 참 좋다] 전주MBC 2025년 04월 09일](/uploads/contents/2025/04/7431513dceaa3355df9ef12b81984f00.jpg)
![[전북이 참 좋다] 전주MBC 2025년 04월 09일](/uploads/contents/2025/04/7431513dceaa3355df9ef12b81984f00.jpg)
◀ 앵커 ▶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주시 광역화가 또다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례시가 좌절된 가운데 이번에는 메가시티가 추진돼 지역 간 불균형만 더 심화될 상황이기 때문인데요,
광역화가 필요하다는 데에는 모두 공감하지만 뾰족한 해법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유룡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특별자치단체 설치가 가능해지자 연초부터 전주 광역화가 화두입니다.
먼저 유창희 전 도의회 부의장이 전주시장 출마를 선언하며 강제통합이 아닌 상호 이익을 위한 전주 완주 특별자치단체 구성을 제안했습니다.
부산·울산·경남의 '부울경메가시티'를 시작으로 '경기남부 8개 지자체', 전남·광주, 충청권이 추진 중이어서 뒤처질 수 없다는 겁니다.
[유창희 /전 도의회 부의장]
"특별자치단체장은 완주군수가, 시의회 의장은 전주시의회 의장이 겸직하면 됩니다. 경제 규모를 키워서 100만 경제특별시를 반드시 만드는 것이..."
임정엽 전 완주군수도 같은 방식의 기구 구성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공유하고 행정 통합의 발판을 마련하자는 구상에 동의했습니다.
반면 조지훈 전 전라북도 경제통상진흥원장은 만경강 테라시티라는 초광역화를 내걸었습니다.
익산까지 경제특별시로 통합해 지역의 경쟁력을 높여 100만 광역시의 교두보로 삼자는 겁니다.
[조지훈 /전 전북경제통상진흥원장]
"전주, 완주, 익산이 하나의 경제권을 만들어내고 문화관광 벨트를 만들어내고 교통을 단축시키고 통합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내야..."
하지만 옥상옥에 불과하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이중선 전 청와대 행정관은 이 같은 광역화는 시급한 과제지만 특별자치단체는 기능이 제한적이라며 행정력만 낭비할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이중선 /전 청와대 행정관]
"저는 행정구역 자체를 통합하자는 겁니다. 특별자치단체를 만들지 말고. 도가 통합의 기능을 하면 되는 것이지 굳이 특별자치단체를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우범기 전 정무부지사 역시 광역화가 절실하지만, 특별자치단체의 가능성에는 회의적입니다.
이런 가운데 전주시는 특별자치단체도, 행정통합도 아닌 균형발전광역시 지정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김승수 /전주시장]
"인구로 또 면적 규모로는 광역시가 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균형발전광역시를 반드시 대통령 공약에 넣어달라고 요청한 상황입니다."
국가 균형 발전을 명분으로 내걸고 도마다 한 개씩의 특별시를 지정하도록 대선 후보 측에 건의했다는 겁니다.
반면 전라북도는 메가시티 정책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강소권 메가시티 지정을 촉구한다는 계획인데 인구는 날로 줄고 있어, 논의만 무성할 뿐 대안은 분명치 않아 보입니다.
MBC NEWS 유룡입니다.
- 영상취재 : 정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