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참 좋다] 전주MBC 2025년 04월 23일](/uploads/contents/2025/04/0c12ea061c27678d55c70e8a258ed361.jpg)
![[전북이 참 좋다] 전주MBC 2025년 04월 23일](/uploads/contents/2025/04/0c12ea061c27678d55c70e8a258ed361.jpg)
전주의 알짜배기 땅, 구 대한방직 부지의
개발 방향을 놓고 수년째 논의가 공회전을 하고
있는데요.
어떻게든 방향을 좀 잡을 만도 한데,
그동안 쉽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전주시가 구성한
시민 공론화위원회가 1년간의 토의를
마무리하면서 변수가 생겼습니다.
위원회는 다음 달 최종 권고안의 발표를
앞두고 있는데요. 결과가 주목됩니다.
한범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VCR▶
지난주 토요일, 학교 교실에 모인 시민들이
열띤 토의를 이어갑니다.
주제는 구 대한방직 부지에 대한 개발 방향,
논의를 마치고 최종 설문조사를 통해
입장을 정리합니다.
지난해 2월부터 전주시가 추진해 온
숙의민주주의 절차가 막바지에 접어들었습니다.
전문가와 이해관계인이 모여
부지 개발안을 세 가지로 좁혔고,
이후 전주시민 천5백 명은 단순 여론조사를
통해, 99명은 오프라인 토론장에 모여
의견을 표명했습니다.
◀SYN▶ 이정현 위원 (구 대한방직 부지 개발 관련 공론화위원회)
시민 대표단의 생각의 지형이 어디에 핵심적으로 있는지, 이 부분을 정리하는 시간이 좀 필요하다는 거...
공론화위원회의 논의 결과는 다음 달 안으로
김승수 전주시장에게 전달될 예정,
폐공장 부지에 아파트와 쇼핑몰, 컨벤션 센터,
사무실, 공원 등이 모두 들어선다는 게
기본 원칙입니다.
다만 어떤 시설을 얼마만큼의 비율로
입주시킬지는 김 시장에게 전달된 권고안이
발표돼야 알 수 있습니다.
◀SYN▶ 이양재 위원장 (구 대한방직 부지 개발 관련 공론화위원회)
그 다음부터 공은 전주시에 넘어간다고 생각합니다. (권고안을 거부하기에는) 굉장한 부담을 갖지 않을까...
그런데 위원회의 결정에 법적 구속력이 생기는
건 아닙니다.
[Stand up]
구 대한방직 부지는 엄연한 사유지입니다.
전주시장이 권고안을 수용한다고 해도
토지 소유주가 거절하면
권고안은 무용지물이 됩니다./
사업의 최종 승인권자인 전라북도가
전주시가 독자적으로 도출한 개발안을
받아들일지도 의문입니다.
위원회를 통해 모인 시민들의 의견이
제대로 관철되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이 아직 많다는 지적입니다.
MBC 뉴스 한범수입니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