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C자료사진]
◀앵커▶
4월 16일, 304명이 숨진 세월호 참사가 난지 벌써 11년이 지났지만 국민적 슬픔은 아직도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전국을 충격에 휩싸이게 한 대형 참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인데 국민이 안전해지는 것은 언제쯤 가능할까요?
전재웅 기자입니다.
◀리포트▶
4월 16일 오후 4시 16분, 추모객들이 꽃을 하나 둘 내려 놓습니다.
세월호 참사로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전국적으로 매년 이날 추념식이 열리고 있습니다.
[김수호 / 전북교육청 학생의회 의장]
"여러분의 이름을 기억하며, 다시는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더 안전한 세상을 만들겠습니다."
참사 10년여 만에 처음 공개된 세월호 사건 판결문,
'과도한 양의 화물'과 '조타기 이상', '복원성 상실' 등 선체 내부의 복합적 문제가 침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돼 있고,
대규모 인명 피해는 선원들이 적극적으로 구호 조치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적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 발생 직후 7시간 동안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 행적은 여전히 베일에 쌓여 있고, 구조 과정을 살피며 진행된 조사와 처벌도 시민 기대와 동떨어져 여전히 의혹이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양난초 / 전주 효자동]
"(진상 규명이) 제가 알기로는 시작도 못하고 지지부진한 상태인 걸로 알고 있거든요. 국회든 위원회든 추진이 돼서 (위로가 되길)"
세월호 참사 발생 이후 유족 아닌 시민들이 이들의 분향소를 지켜온 것도 같은 이유에서입니다.
[이병무 / 세월호 분향소 지킴이]
"국가가 존재하지 않았다라고 우리는 다들 얘기를 했습니다. 이구동성으로. (적극적으로는) 구하지 않았다라고 한 거거든요."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미진했던 탓일까.
세월호 참사 이후 사회 전 분야에서 안전을 내세웠지만, 8년 뒤에는 159명이 숨진 10.29 참사가 발생해 다시 전국을 슬픔과 분노에 휩싸이게 했고, 2년 뒤에는 오송 지하차도 침수로 14명의 시민이 숨졌습니다.
[문성철 /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전북지부장]
"법적 제도적 장치를 완비하여 사회 곳곳에서 어이없는 죽음을 맞지 않고, 가족들이 눈물 흘리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 줄 것을.."
11주기를 맞은 세월호 참사, 지금 우리 사회는 안전하냐고 오늘도 묻고 있습니다.
MBC뉴스 전재웅입니다.
영상취재: 서정희
그래픽: 문현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