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참사 후 11년이 지났지만 슬픔과 충격 생생.. 우리는 안전한가
2025-04-16 2042
전재웅기자
  rebear@jmbc.co.kr

[MBC자료사진]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앵커▶

4월 16일, 304명이 숨진 세월호 참사가 난지 벌써 11년이 지났지만 국민적 슬픔은 아직도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전국을 충격에 휩싸이게 한 대형 참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인데 국민이 안전해지는 것은 언제쯤 가능할까요? 


전재웅 기자입니다.


◀리포트▶

4월 16일 오후 4시 16분, 추모객들이 꽃을 하나 둘 내려 놓습니다. 


세월호 참사로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전국적으로 매년 이날 추념식이 열리고 있습니다.


[김수호 / 전북교육청 학생의회 의장]

"여러분의 이름을 기억하며, 다시는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더 안전한 세상을 만들겠습니다."


참사 10년여 만에 처음 공개된 세월호 사건 판결문, 


'과도한 양의 화물'과 '조타기 이상', '복원성 상실' 등 선체 내부의 복합적 문제가 침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돼 있고,


대규모 인명 피해는 선원들이 적극적으로 구호 조치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적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 발생 직후 7시간 동안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 행적은 여전히 베일에 쌓여 있고, 구조 과정을 살피며 진행된 조사와 처벌도 시민 기대와 동떨어져 여전히 의혹이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양난초 / 전주 효자동]

"(진상 규명이) 제가 알기로는 시작도 못하고 지지부진한 상태인 걸로 알고 있거든요. 국회든 위원회든 추진이 돼서 (위로가 되길)"


세월호 참사 발생 이후 유족 아닌 시민들이 이들의 분향소를 지켜온 것도 같은 이유에서입니다. 


[이병무 / 세월호 분향소 지킴이]

"국가가 존재하지 않았다라고 우리는 다들 얘기를 했습니다. 이구동성으로. (적극적으로는) 구하지 않았다라고 한 거거든요."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미진했던 탓일까.


세월호 참사 이후 사회 전 분야에서 안전을 내세웠지만, 8년 뒤에는 159명이 숨진 10.29 참사가 발생해 다시 전국을 슬픔과 분노에 휩싸이게 했고, 2년 뒤에는 오송 지하차도 침수로 14명의 시민이 숨졌습니다.


[문성철 /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전북지부장]

"법적 제도적 장치를 완비하여 사회 곳곳에서 어이없는 죽음을 맞지 않고, 가족들이 눈물 흘리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 줄 것을.."


11주기를 맞은 세월호 참사, 지금 우리 사회는 안전하냐고 오늘도 묻고 있습니다. 


MBC뉴스 전재웅입니다.


영상취재: 서정희

그래픽: 문현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