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종광대 재개발 결국 중단.. "후백제 유적 보존해야"
2025-02-20 1102
김아연기자
  kay@jmbc.co.kr

[전주MBC 자료사진]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앵커▶

전주 구도심에서 10년 넘게 진행되어온 재개발 사업이 후백제 추정 유적의 발굴로 결국 무산됐습니다.


재개발 예정지를 관통하는 이 유적에 대해 국가유산청이 '현지 보존' 하라는 결정을 내린 건데요.


천억 대로 예상되는 보상비 지급 등을 놓고 앞으로 진통이 적지 않을 전망입니다.


김아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0년부터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어온 전주 종광대 2구역입니다.


5백 30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으로, 철거 공사가 거의 끝나고, 조합원 분양까지 마쳤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공사 과정에서 땅 속에 묻혀있던 성벽과 기와 등 후백제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발견됐습니다.


[김아연 기자]

"발견된 성벽의 흔적은 이 곳 재개발 예정지 한가운데를 동서로 가로질러, 200미터에 이르고 있습니다."


1942년 편찬된 전주부사에 나오는 후백제 고토성의 위치와 거의 일치합니다. 


국가유산청은 심의위원회를 열고, 해당 유적에 대해 '현지 보존', 즉 그 자리에 그대로 보존하라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전주시도 앞서 '현지 보존' 의견을 국가유산청에 제출한 바 있습니다.


결국 10년 넘게 진행돼온 재개발은 중단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


문제는 막대한 보상비의 지급입니다.


조합원들은 재개발 막바지에 유적 발굴로 공사가 중단된만큼 지금까지 들어간 비용 등 1,900억대 보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강원옥 / 종광대 재개발사업 조합장]

"사업비 매몰 비용 약 450억 원을 포함해서 조합원들 보상비 명목으로 약 1,900억 원을 정식 공문으로 전주시에 요청했습니다."


전주시는 관련 위원회를 꾸려, 보상 규모와 지급 시기 등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박금희 / 전주시청 국가유산관리과장]

"조합하고 시하고 보상대책협의회를 구성하려고 하고요. 별도로 보상자문위원회를 만들어서 보상의 기준을 세워야 되잖아요."


재개발 예정지를 관통하는 유적 발굴로 사업이 무산된 사례가 이례적이기는 하지만, 앞서 2000년 풍납토성 재개발 과정에서 국가와 지자체가 보상비를 지급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국가유산청은 전주 종광대 후백제 추정 유적이 풍납토성과 달리 국가지정유산이 아니라는 이유로 보상비 분담에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재개발 조합과 전주시, 유산청간 협의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MBC뉴스 김아연입니다.


영상취재: 서정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