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마을기업으로 지정돼 수억 원대의 보조금을 받아온 선유도 특산품 판매장이 팔아서는 안 되는 상품을 팔아온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것은 또, 토지 무상사용 허가 취소 사유에 해당되는데 군산시는 수년 전부터 이 사실을 알고도 묵인해 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혜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마을기업으로 지정돼 지난 10년간 수억 원대 보조금을 받은 선유도 특산품 판매장.
판매장에서 파는 다시마 당과는 경남 김해에서 만들어 광주의 기업이 유통하는 제품입니다.
러시아 산 뿐인 황태포 역시 군산이나 전북과 전혀 상관없어 규정상 판매할 수 없습니다.
[박혜진 기자]
"전북지역이 아닌 타지역 상품을 판매할 수 없다는 마을기업 규정을 어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마을기업이 우리 지역이 아닌 타지역 상품을 판매하면 보조금 대상 제외 사유에 해당됩니다.
[남효식 / 전북도 사회적경제팀장]
"그 (판매 상품) 중에는 외국에서 들여온 물품도 이제 소수이지만 몇 개 품목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그 품목에 대해서는 대표자가 시인을 했고.."
현재도 각종 젓갈류는 선유도 특산품이라고 적힌 용기에 담겨 있지만, 진열된 냉장고 겉면에는 '선유도'라는 이름이 지워져 있습니다.
[직원]
"여기에 (가공)공장이 있었는데 공장이 이제 폐쇄되어가지고.."
'군산지역에서 생산된 농수산물만 판매한다'는 조건으로 군산시는 2014년부터 판매장 토지를 무상 사용하도록 허가를 내준 건데 규정을 위반한 것입니다.
그런데 군산시가 이미 오래전부터 주민 민원과 시의회의 지적으로 이 같은 사실을 알면서도 묵살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경식 군산시의원 / 2018년 11월, 경제건설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왜 그 다른 지역에서 판매를 하는데 선유도라는 이름을 넣고 판매가 가능한가. 과연 이 선유도에서 나오는 제품을 단 한 가지라도 파는가."
[주민]
"판매장에서 팔 수 있는 물건도 아닌데 왜 여기서 판매를 하느냐, 그렇게 돼서 (강임준)시장이 나왔고 탐방대에서 회의를 해서.."
군산시의 특정인 봐주기가 도를 넘었다는 지적과 함께 전북도는 보조금 환수 등 행정 조치와 과태료 부과 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박혜진입니다.
영상취재 : 서정희
그래픽 : 문현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