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MBC 자료사진]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이 여당 의원들의 집단 퇴장으로 자동 폐기되면서, 국민의힘을 비난하는 목소리는 시간이 갈수록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각계 각층에서는 국민의힘을 내란 공범, 부역자 등으로 표현하며 해체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주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의결 정족수 미만으로 폐기되면서 후폭풍이 거셉니다.
국민의힘 의원 105명이 표결을 불참한 데 따른 성명과 논평이 아침부터 줄을 이었습니다.
시국 관련 성명을 따로 발표하지 않았던 단체들까지 앞다퉈 탄핵안 폐기를 주도한 국민의힘을 비난했습니다.
계엄의 불법성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상황에서 탄핵 표결조차 거부한 국민의힘이 과연 공당이 맞냐는 의견이 주를 이뤘습니다.
[노병섭 / 전북참교육동지회 회장]
"국민의힘이라고 하는 정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하는 그런 모습은 제2의 내란 행위를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탄핵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한 국민의힘은 존립 근거가 없어졌다는 비판도 이어졌습니다.
무엇보다 탄핵안을 폐기시키기 위해 집단 퇴장을 당론으로 정한 것은 민주주의 가치를 입법 기관 스스로 부정한 것이라는 지적도 쏟아지고 있습니다.
한동훈 대표와 한덕수 총리의 현 시국을 수습하겠다는 발표 역시 비판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홍정훈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전북지부 부지부장]
"헌법상 말이 되지 않는 이야기고요. 대통령이 궐위되지 않는 한 국무총리는 직무를 대행할 수 있는 권한이 없고요. 헌법상 한동훈 대표는 그냥 민간인이에요."
지방의회, 단체장은 물론 야당과 시민사회, 노동계 등 수십 곳이 윤석열 대통령 퇴진과 국민의힘 해체까지 주장하고 있습니다.
탄핵 표결 전보다 현 정부와 국민의힘을 향한 민심이 더 나빠지는 양상입니다.
윤석열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 집회는 당분간 매일 저녁 6시쯤 전주와 군산 등에서 이어질 계획입니다.
MBC뉴스 이주연입니다.
영상취재: 강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