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내란 가능성, 5공화국 연상".. 계엄과 포고령에 시민사회 '분노' [12·3 계엄]
2024-12-04 999
전재웅기자
  rebear@jmbc.co.kr

[전주MBC 자료사진]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앵커▶

또한 시민사회와 각 단체는 비상 계엄 선포를 성토하고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입장이 하루 종일 이어졌습니다.


전재웅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상 계엄 상황에 간밤 전국이 충격에 휩싸인 가운데, 전북에서도 규탄의 목소리가 종일 터져나왔습니다.


민변 전북지부는 대통령 담화에서 주장한 비상계엄 사유인 탄핵소추권 행사와 예산안 심의 의결권 행사는 비상계엄 선포의 요건이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오히려 민주주의로 구성된 국회를 범죄집단으로 보는 것이야 말로 내란 행위라며 대통령의 즉각 사퇴와 관련자 처벌을 주장했습니다.


[홍정훈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전북지부 부지부장]

"헌법을 부정하는 행위이고.. 퇴보시키다 못해 민주주의를 파괴시키려는 일종의 내란, 또는 선동적 행위라고 보여지거든요."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는 "성숙한 민주주의로 자부심을 가졌지만 계엄이 부끄러운 민낯"을 드러냈다고 평가했고,


전북평화와인권연대는 "합법 불법성의 여부와 무관하게 계엄 그 자체는 인권과 헌법을 파괴하는 행위"라며 대통령 퇴진을 요구했습니다.


[채민 / 전북평화와인권연대 사무국장]

"국회를 계엄군을 동원해서 저지하거나, 국회의원들을 억류하려 했다는 시도가 (있었다면).. 체포와 수사, 구속을 통해서.."


특히 계엄사령부의 포고령의 내용을 두고도 거센 비판이 일었습니다.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은 '초헌법적인 포고령을 통해 언론 통제 의지가 결연하게 드러났다'며 '전두환 정권의 언론 탄압'을 떠올리게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전북의사회도 '파업 전공의와 현장 이탈 의료인을 처단한다는 포고령에 분노한다며 윤대통령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MBC뉴스 전재웅입니다.


영상 취재 : 조성우

그래픽 : 안희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