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자료사진]
◀ 앵 커 ▶
새만금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새만금호의 수질 문제는 반드시 넘어야 할 관문입니다.
하지만 현재의 제한적인 대책은 미봉책에 불과해 결국 해수유통을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감에서도, 도정질문에서도 지적이 잇따랐는데 정부가 결단을 내릴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
강동엽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 2020년부터 하루 2차례 해수유통이 이뤄지고 있는 새만금호.
해수유통을 통해 도시용지는 3등급, 농업용지는 4등급 수준으로 목표 수질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내부 수질, 수심이 깊어질수록 물이 순환되지 않으면서 산소가 없어 생물이 살 수 없는 지경입니다.
[이정현 /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전화)]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지 않고 층을 이루는 염분 성층화 때문에 수심 3~4m 아래 구간에는 산소가 거의 없습니다. (바닥은) 죽어있는 상태가 되어 있는데요."
시화호나 정주영 방조제라 불린 충남 부남호 모두 담수호 사업 실패라는 결과로 귀결되면서, 새만금호의 해수유통 확대가 국감에서도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환경부는 지금과 같은 제한적인 해수유통은 근본적인 수질 개선책이 되지 못한다는 점에 공감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고심 중이라는 말 뿐,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호영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
"수질에 문제가 있다면 실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되지 않겠습니까?"
[김완섭 / 환경부 장관]
"환경부 입장에서 이 수질문제 또 어민들의 문제, 이런 걸 좀 고려해서 대책을 저희들이 검토하고 좋은 결론이 날 수 있도록.. "
결국 해수유통 확대 여부는 새만금 개발과 공존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새만금호 관리 수위는 해수면보다 1.5미터 낮게 설정돼 있어 수위를 높이면 사업 지연과 홍수 피해 등에 대한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김관영 / 도지사]
"관리수위가 변경되면 내부용지의 추가 매립과 기 추진 중인 SOC사업 세부계획에 대한 재검토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발사업이 지연될 우려가 있다라고.."
이렇다 보니 조력발전이나 홍수기를 감안한 탄력적인 관리 수위 조절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현재의 해수유통으로는 수질 대책이 될 수 없다는 데 일단 공감한 정부가 보다 전향적인 자세로 전환할지 시선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MBC 뉴스 강동엽입니다.
영상취재: 강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