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언제까지 손놓나".. 가축 '재해 대비책 마련해야'
2023-07-30 361
목서윤기자
  moksylena@gmail.com

[전주MBC 자료사진]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앵커▶

최근 기록적인 폭우가 남긴 안타까운 수치입니다.


92만 9천. 


통상 재산 피해로 집계되고 마는 가축 피해 규모입니다. 


달리 생각해보면 이 숫자, 


속수무책으로 생명을 잃은 '동물'의 수이기도 한데요.


'생명'과 '재산'사이에 놓여, 재해 앞에 '어쩔 수 없다'고 치부되는 생명을 살리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리포트▶

최근 폭우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익산 용안면의 한 오리 농장.


2만 5천 수의 떼죽음 속 가까스로 살아남은 오리 한 마리, 지친 기색이 역력합니다.  


돼지와 소를 포함해 전국적으로 100만 마리 가까운 농장 동물이 폐사했는데, 침수에 취약한 닭과 오리가 91만 8천 마리에 달합니다.


[목서윤]

"피해가 컸던 익산의 대규모의 양계장입니다. 뒤로 보이는 건축물 3개 동에 순식간에 물이 들어차면서, 계사 바닥에 있던 16만 마리의 닭이 그대로 익사한 겁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살아 숨 쉬던 닭의 수습 작업을 바라보는 농민의 마음은 참담합니다.

 

[황호상 / 피해 농민] 

"아무 생각이 안 나죠. 갑자기 이런 일을 (겪을 줄 몰랐고), 한 번도 안 겪어봤잖아요. (닭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사람들, 인부들은 대피했죠."


국내에서 농장 동물은 재산으로 간주돼 재난 보호 대상도 아니기 때문에 기상재해에 대규모로 희생되기 일쑤입니다.

 

하지만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이 높은 다른 나라에는 피해를 줄이기 위한 최소한의 예방책이 마련돼 있습니다.


재해 시 가축 관리 요령이 담긴 미국 농무부의 자료. 

 

농장 주변에 '가축 대피소'를 확보하고, 동물의약품이 담긴 비상키트 마련을 권고하는 등 구체적인 행동 요령을 제시합니다. 


영국도 비슷한 기준을 제시하며 전문인력이 현장에 투입돼 농장 동물을 구조할 수 있도록 합니다. 


미국 정부와 가축 피해책을 연구하고 있는 국제동물보호단체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도축될지언정, 재해 등 예정되지 않은 고통으로 인한 가축 죽음은 예방해야 할 의무가 있고, 충분히 가능하다고 전문가는 말합니다.


[아담 파라스칸돌라 / HSI 동물구조본부장]

"(소규모 농가로 운영되는) 마을 주민들이 대피할 때 지역사회 차원에서 농장 동물들도 함께 이동시킨다. 농민들이 합심해 (가축 대피소로 운영할) 공간을 공유하며 가축 관리에 책임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단 국내에 보편화된 '공장식' 축산은 현실적 한계가 있음을 지적합니다. 


천, 만 단위 환경에서는 대비도, 구조도 사실상 어렵다는 것.


동물에게 열악할 뿐 아니라 기후위기마저 부추기는 밀집사육을 줄이고 재난 시 관리도 가능한 소규모 농가로의 전환이 제시되는 이유입니다. 


날로 심각해지는 기후재해와 변화하는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 속에 농장 동물의 집단 폐사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황호상 / 피해 농민] 

소중하게 병아리 때부터 정성 들여 키웠는데, 하루아침에 천재지변으로 죽는 게 마음이 안쓰럽죠."


지구 새로 봄, 전주MBC 목서윤입니다.


영상출처: A Current Affair / The Atlantic

영상취재: 김관중

그래픽: 문현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