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다감] 전주MBC 2025년 04월 20일](/uploads/contents/2025/04/35072e04eb35f9693b1133e4e576aa9a.jpg)
![[다정다감] 전주MBC 2025년 04월 20일](/uploads/contents/2025/04/35072e04eb35f9693b1133e4e576aa9a.jpg)
한국토지주택공사 LH 직원들의
부적절한 사전투기 정황이 드러나면서
국민적인 공분이 거셉니다.
전북본부 소속 직원들도 투기 의혹에 연루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데요.
도내 공직사회 역시 이해충돌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의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를 의식해 전주시는
개발지역 아홉 군데에서 공무원들의
투기 여부를 선제적으로 조사하기 시작했습니다
한범수 기자입니다.
◀VCR▶
내부 정보를 이용한 공직자의 사전투기 여부를 점검하기 시작한 전주시,
[PIP CG]
김승수 시장과 최명규 부시장 등
5급 이상 간부와
부동산 관련부서에 근무한 경력이 있는
5급 이하 직원들까지
모두 조사대상으로 삼았습니다./
투기사례가 나오면, 해당 공무원은
파면이나 해임 등 중징계를 받을 수 있습니다.
[PIP CG]
사전투기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지역은
가련산과 역세권 등
LH의 공공임대주택이 들어설 예정인 곳,
그리고 투기열풍이 불기 직전인 2015년
개발계획이 발표된 천마지구입니다./
[PIP CG]
지금처럼 투기가 심하지 않았던 2000년대 말
이미 개발이 시작된 에코시티와
효천.만성지구는 사전투기 가능성이 높지
않지만,
혹시 모를 가능성에 대비해 2차 조사 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
◀INT▶ 유진선 전주시 아파트거래특별조사팀장
만성지구, 에코시티, 효천지구는 이제 개발완료 지역이기 때문에 우선 조사대상 지역이 아니고, 이제 막 개발이 시작되는 (가련산.역세권.천마지구 등) 세 곳이...(우선 조사지역입니다.)
[PIP CG]
전주교도소와 탄소산업단지, 여의지구에서도
부적절한 거래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어
조사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PIP CG]
개발 계획을 일반 주민들이 알 수 있는
'주민 열람 공고일'을 기준으로,
5년 이내에, 앞서 부동산을 구입한 공무원은
모두 투기 의심자로 분류돼
심층 조사를 받게 됩니다./
다만 부족한 인력 탓에 신규개발 지역이 아닌
재개발 구역까진 조사하진 못하고 있다는 게
아쉬운 대목으로 꼽힙니다.
[Stand up]
전주시 아파트거래특별조사단은
공직자뿐 아니라 민간인의 투기 의혹도
계속 밝혀내고 있습니다./
올 초부터 이달까지 2천6백여 건의
의심 사례를 추가로 적발한 상태인데,
제대로 소명하지 못하는 당사자는
경찰에 고발한다는 방침입니다.
◀INT▶ 백미영 전주시 아파트거래특별조사단장
매도.매수인이 직접 거래를 했다고 신고가 오는 경우가 있어요. 사실은 (중간에) 공인중개사가 있는데... 계약서를 따로 쓸 확률이 높아요. 이런 것은 허위신고로 보고...
전주시가 자체 운영하는 부동산 신고센터도
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데,
이곳을 통해 지금까지 예순두 건의
투기 의심사례를 파악했습니다.
MBC 뉴스 한범수입니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