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다감] 전주MBC 2025년 04월 20일](/uploads/contents/2025/04/35072e04eb35f9693b1133e4e576aa9a.jpg)
![[다정다감] 전주MBC 2025년 04월 20일](/uploads/contents/2025/04/35072e04eb35f9693b1133e4e576aa9a.jpg)
◀ANC▶
최악의 홍수피해를 낸 섬진강댐의
홍수조절 기능에 대한 논란이 끊이질 않습니다.
'홍수기 제한수위'가 다른 댐에 비해
너무 높게 설정돼 있어
홍수 조절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확인됐습니다.
환경부장관은 피해현장을 찾아 재발방지를
약속했습니다.
조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VCR▶
섬진강 댐은 홍수조절 기능이
애초부터 취약했습니다.
환경부가 정한 섬진댐의
'홍수기 제한수위'는 196.5미터...
댐의 최종 방어선인
계획 홍수위와 차이가 1.2미터 밖에 나지
않습니다.
댐의 홍수조절 기능은,
'홍수기 제한 수위'와 '계획홍수위' 차이에서
결정되는데...
cg/
5미터 안팎의 차이가 있는 다른 댐들과는 달리
섬진댐은 차이가 크지 않아
홍수 조절 기능이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끝
◀SYN▶ 조명래 / 환경부장관(어제)
"홍수기 제한수위는 어디까지나 관리를 위한 수위입니다. 그 위반에 의해서 하류에 어떤 침수피해가 나타났는지 이것을 종합적으로 우리가 봐서.. 징계 요구나 형사처벌 조치를.."
그런데 섬진댐의 홍수조절 기능에 대한 우려는
이전부터 제기됐었습니다.
지난 2012년 환경부 산하인 수자원공사
연구진이 섬진댐의 홍수조절 기능을
평가한 논문인데,
cg
/홍수기 제한수위를 낮추면
200년에 한 번 오는 폭우에 대비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습니다./끝
물관리 주무부처인 환경부는
소 잃고 외양간까지 잃은 뒤에야
제도정비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SYN▶ 조명래 / 환경부장관(어제)
"댐 홍수조절 능력 확대를 위해 홍수기 제한수위, 댐 방류체계 등을 검토하여 홍수관리기준을 강화하고.."
섬진댐의 홍수조절 기능을 강화하려면
우선 홍수관리 기준을 강화하고
다목적댐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사전에 조율할 협의기구도 필요하단 지적입니다.
◀INT▶ 이정현 / 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부총장
"홍수기 제한수위가 수십년 전에 만들어졌거든요. 기후변화 대응할 수 있다록 홍수조절 공간을 확보하는 것들이 필요하고요. 상하류 주민들의 이해관계 차이가 큽니다. 그래서 이런 것들을 조정하고.."
조명래 장관은 오늘(18) 남원을 찾아
주민들을 위로하며 재발방지를 약속했는데,
이제 구성작업에 들어간
댐관리 조사위원회는 이달 말 조사에 착수해
오는 10월 결과를 발표한다는 계획입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