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도내 평야지대의 농업과 공업용수의 대부분을 공급하는 금강의 수질 문제로 일부 시민 단체를 중심으로 하굿둑 해수 유통 주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충청남도는 대선 공약 사업으로 '오염된 연안하구의 생태복원'을 제시하기도 했는데요,
전북과 충남 일부 농민 단체들은 해수 유통을 반대한다는 건의안을 인수위에 전달하는 한편, 농어촌 공사는 용역에 들어갔습니다.
이경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김제, 군산, 부안, 익산 지역의 농업과 공업용수 취수원인 금강의 하굿둑
우리 지역에 연간 4억 3천만 톤의 물을 공급하는데, 앞으로 새만금 농생명 용지의 중요 취수원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심한 녹조와 함께 수질이 6등급까지 나빠지는 등 문제가 심각해지자 충청남도는 대통령 공약 사업으로 생태 복원을 제시했습니다.
이에 반해 지난 15일, 전북 93개, 충남 18개 농업인단체는 농업용수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없는 해수유통은 반대한다며 인수위에 건의안을 제출했습니다.
[노창득 /한국농업경영인 전라북도연합회장]
"짠물 같은 경우는 바닥으로 가라앉아서 지하수가 오염이 돼요. 그 근처에서 지하수를 쓰는 곳이 많이 있잖아요. 하우스가 엄청나게 많이 있잖아요. 익산 쪽으로 해서. 그래서 그런 피해가 너무 많다.."
갈등이 지속되자 농어촌공사는 이달 초, '금강하굿둑 자연성 회복에 따른 농업 부문 영향 검토'라는 용역을 입찰 공고했습니다.
과업지시서에는 "해수유통 논리에 대해 기술적으로 검토 후 대응 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적혀 있습니다.
전라북도 역시 당장 대체 용수가 없는 데다, 해수유통을 위해 취수원을 상류 쪽으로 이전하면 1조 원 이상의 비용이 추가로 발생한다는 입장입니다.
[유호연 /전라북도 농업정책과장]
"안정적인 농업용수나 공업용수가 공급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고, 저지대 침수 피해라든가 염해 피해 이런 대책이 선행적으로 마련된다면 (논의 진행 가능).."
수질 개선과 농업용수 공급 등 새만금 해수유통 논쟁과 닮아 있는 금강하굿둑 논란.
녹조 강물로 키운 농작물이 인체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 만큼 안정적 취수 활동과 함께 적극적인 수질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MBC 뉴스 이경희입니다.
- 영상취재 : 진성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