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생태관

num_02_01.gif
 
02_01.gif
01.gif
새만금유역의 육수역 3개 지점에서 총 4목 5과 17종 1,615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참붕어, 각시붕어, 참몰개, 왜매치 등의 1차담수어 13종, 송사리 등의 2차담수어 1종 및 꺽정이, 숭어, 두줄망둑 등의 주연성어류 3종으로 구성되었다. 출현 어류중 참붕어(77.3%)가 1,248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납자루(129개체, 8.0%), 붕어(104개체, 6.4%), 각시붕어(61개제, 3.8%) 등의 순서로 우점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02_02.gif
02.gif
새만금지구 유역내 7개지점에서 총 75종 247,392개체의 조류를 관찰하였으며, 흰뺨검둥오리, 매, 황조롱이, 꿩, 멧비둘기 등 텃새 13종(17.3%), 검은목논병아리, 뿔논병아리, 큰기러기, 큰고니, 혹부리오리, 청둥오리 등 겨울철새 23종(30.7%), 해오라기, 황로, 노랑부리백로, 쇠백로, 중대백로 등 여름철새 17종(22.7%), 흰물떼새, 검은가슴물떼새, 좀도요, 민물도요, 붉은어깨도요 등 나그네새 19종(25.3%), 노랑부리저어새 등 미조 1종 (1.3%), 미확인종 2종(2.7%)으로구성되었습니다.
또한 새만금지구에 도래하는 수조류 중에서 최우점종은 청둥오리로 총 83,731개체(33.8%)를 관찰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흰물떼새(49,699개체, 20.1%), 민물도요(26,062개체, 10.5%), 붉은어깨도요(18,745개체, 7.6%), 괭이갈매기(9,289개체, 3.8%), 좀도요(7,064개체, 2.9%), 흑꼬리도요(6,835개체, 2.8%), 기타 조류(45,967개체, 18.6%)등의 순이었습니다.

02_03.gif
07.gif
2001년도에는 양서류는 현장조사시 참개구리, 황소개구리, 청개구리 등 총3종이 관찰되었으며, 2000년에는 두꺼비, 참개구리, 황소개구리, 금개구리, 옴개구리, 청개구리 등 6종이 조사되었다. 파충류는 2001년도에는 현정조사시 유혈목이 1종이 확인되었으며, 2000년도 사후환경영향조사시 출장지뱀, 아무르장지뱀, 무자치 , 누룩뱀, 유혈목이 등 총 5종이 조사되었습니다. 양서.파충류 중 법적으로 보호를 요하는 종은 환경부지정(자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3조)보호야생동식물인 금개구리로 청호지와 군산시 대야면 광교리에서 관찰되었으나 금개구리의 서
08.gif 식지와 사업지구는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으며, 새만금사업은 방조제를 축조하여 간척농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므로 직접적으로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새만금지구 유역에서 조사된 포유류는 2001년도에 너구리. 고라니. 생쥐. 멧밭쥐 등 4종이었고. 2000년도 사후환경영향조사보고서에서는 두더지, 너구리, 족제비. 곰쥐. 생질. 멧밭쥐 등 총 10종이었으며. 출현한 종중 법적으로 보호를 요하는 종은 없었습니다.


num_02_02.gif


03.gif 각 토.석재장별 식물상은 2001년 새로이 개발한 곳이 없으므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해창석산은 석산개발로 인하여 이미 많은 식생들이 제거되었으나 도로쪽으로 일부 남아 있는 식생에는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의 혼합림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동진대교 아래는 아직 해수의 영향을 받고 있는 갯벌로서 갈대, 갯잔디, 가는갯능쟁이, 나문재, 해홍나물, 칠면초 등의 염생식물이 주로 분포하였으며, 명아주, 강아지풀, 돌콩, 망초 왕고들빼기 등의 중생식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09.gif
만경대교 아래에도 동진대교와 유사하게 갈대, 갯잔디, 가는갯능끽이. 나문재, 해홍나물, 칠면초 등의 염생식물이 분포하고 있었고, 강아지풀, 돌피, 참새귀리, 소리쟁이,쇠비름, 다닥냉이, 망초, 쑥 등의 중생식물이 출현하였다.
신시석산은 소나무, 곰솔, 노간주남, 굴피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자귀나무, 아까시나무, 산벚나무 등의 교목종을 비롯하여 떡갈나무, 청미래덩굴, 선밀나무, 찔레꽃, 싸리 등의 관목종과 참억새, 새 뚝갈, 쑥, 개망초, 망초 미역취 등의 초본식물이 분포하였습니다.
또한 하구언을 조사한 결과 칠면초, 나문재, 퉁퉁마디, 가는갯는쟁이 등의 염생식물이 우세하게 서식하고 있었고, 갯개미취, 갯잔디, 천일사초, 갈대, 모새달, 비쑥, 큰비쑥, 송이고랭이, 새섬매자기 등 비교적 염기에 강한 식물이 일부 지역에서 군란을 이루고 있었으며, 산초풀, 개피, 개밀, 참억새, 괭이사초, 댑싸리, 명아주, 닭의덩굴, 소리쟁이, 쇠무릎, 쇠비름, 쑥, 빗자루국화, 큰빗자루국화, 망초, 사데풀, 왕고들빼기 등도 분포하였습니다.


num_02_03.gif


02_04.gif
10.gif
새만금호 예정수역 3개 지점 및 방조제 외해역 1지점에서 어류조사를 실시한결과 총 7목 23과 44종 3,703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전어, 웅어, 숭어, 가숭어, 풀망둑 등의 주연성어류 8종, 보리멸, 멸치, 황강달이, 보구치, 주둥치 등의 해산어 36종으로 구성되었다. 출현 어류즁 주둥치(36.8%)가 가장 많았으며, 돛양태(11.8%), 멸치(10.9%), 전어(7.1%) 등의 순서로 우점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02_05.gif
11.gif
새만금지구내애서 육수역 3지점, 담수호예정해역 3지점 및 방조제 외해역 1지점 등 층 7개지점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43종으로서 남조류(Cyano-Phytes) 9종(6.3%). 녹조류(Chlorophytes) 37종(25.9%), 규조류(Diatoms) 71종(49.7%), 와편모조류(Dinoflagellates) 1종(0.7%), 황금색조류(Chrysophyceae) 3종(2.1%) 및 기타조류 3종(2.1%)으로 구성되었다. 조사지점별로는 St.1(만경제수문)의 경우 총 56종의 식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고, 녹조류가 25종으로 가장 우점을 이루고 있었으며, 규조류 20종, 남조류 4종, 와편모조류, 유글레나조류, 기
타조류가 각각 2종씩 조사되었습니다. 죽산교에서는 총 50종이 조사되었고, 규조류 22종, 녹조류 17종, 남조류 및 유글레나조류 각각 4종, 와편모조류, 은편모조류 및 기타조류 1종이 각각 출현하였으며, 언독대교의 경우 총 48종이 출현하였고, 규조류 18종, 녹조류 16종, 유글레나조류 5종, 남조류 4종, 와편모조류 2종, 황금색조류, 은편모조류,기타조류 각각 1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만경호 예정수역에서는 총 43종이 관찰되었고, 규조류가 34종으로 우점종을 차지하였으며, 와편모조류 5종, 기타조류 2종 황금색조류 및 유글레나조류가 각각 1종씩 나타났으며, 동진호 예정수역에서는 총 37종이 나타났으며 규조류 30종, 와편모조류, 녹조류, 기타조류 각각 2종, 황금색조류가 1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t.6(만경-도진 합류부수역)의 경우 총 40종이 출현하였고, 규조류 32종, 와편모조류 6종, 유글레나조류 및 기타 조류가 각각 1종씩 나타났으며, St.7(방조제외해역)에서는 총 44종이 조사되었으며, 규조류 40종, 와편모조류 및 기타조류 각각2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02_06.gif
새만금지구 인근의 해역중 제1호 방조제측 외해역 2지점 및 제4호 방조제측외해역 3지점 등 총 5개지점에서 조사된 동물플랑크톤은 총 24분류균 11,173.4개제로서 요각류 9분류군 5,846.1개체, 지각류 3분류군 2,005.7개체, 유생 8분류군 2,274.3개체, 기타 분류균 1,047.3개체를 각각 차지하고 있었으며, 최우점종은 copepod의 어린시기인copepodite로 나타났습니다.

02_07.gif
06.gif
새만금지구내 만경수역 갯벌(심포마을앞) 1지점(St.1), 동진수역 갯벌(돈지마을앞) 1지점 (St.2), 외해역측 신규갯벌(제1호 방조제앞) 3지점(St.3-1~3)에서 채집된 저서동물은 총 60종 3,007개체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점별로는 St.1(만경수역갯벌)에서 22종 602개제, St.2(동진수역 갯벌)에서 20종 279개체, St.3-1(외해역측 신규갯벌 상부)에서 14종 1,568개제, St.3-2(외해역측 신규갯벌 중부)에서 24종 217개체, St.3-3(외해역측 신규갯벌 하부)에서 2종 341개체가 각각 출현하였습니다.
새만금지구내 담수호예정수역 3지점 및 방조제 외해역 1지점 등 총 4개 지점에서 저인망으로 채집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44종, 3,487개체, 15,845.85g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다. 조사지점별로는 St.4(만경호 예정수역)에서 22종, 328개체, 3,831.54g St.5(동진호 예정수역)에서 30종, 2,572개체, 7,534.43g, St.7(방조제 외해역)에서 13종, 193개체, 2,396.07g이 각각 조사되었습니다.
  

   * 위 내용의 관리책임은 수질보전과 새만금수질 담당 063-280-3566입니다.
 
출처 - 대한민국 새만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