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해주실 책은?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앞두고 '10.29 이태원 참사 기억의 길'을 찾은 시민들이 추모 메시지를 적고 있다는 기사를 보면서이 책을 읽었습니다.
저자 김초롱 씨는 2022년 10월 29일 이태원 참사 현장에 있었습니다.
그날 벌어진 일과 무너진 세계에 관한 이야기를 정리해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린 글이 누적조횟수 50만회를 넘었고,
중앙 일간지와 인터넷 매체에 정식 연재되어 많은 독자들이 읽었습니다. 그 글의 제목은 “선생님, 제가 참사 생존자인가요?”이고,
오늘 소개할 책 제목입니다. 책에는 참사 현장에서 가까스로 살아남은 사람이 본 것들과 사회적 참사를 맞닥뜨린 한 개인에게 찾아온 트라우마를
극복하려 애쓴 흔적들이 담겨 있습니다.
10월 29일 18시 30분부터 10월 30일 새벽 이후까지, 저자가 직접 겪은 시간대별 이태원 상황과 감정 변화를 시간 순으로 되도록 자세히 담았습니다.
159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참사 후로 저자는 좀처럼 밥을 먹지도 잠을 자지도 못했습니다.
"정확한 팩트를 확인하고 싶어서" 병적으로 뉴스에만 집착했다고 하는데요.
지인의 권유로 한국심리학회의 전화 상담을 받고 나서야 그는 자신이 '참사생존자'라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상담사는 말했습니다. '참사를 뉴스로 보고 간접적으로 겪은 우리 모두가 생존자나 다름없으며,
그 현장을 직접 겪은 당신이 더 힘든 건 당연하다'고.
이후 저자는 전화 상담을 시작으로 구청 정신건강 복지센터를 방문하고 정신과 치료를 받는 등 트라우마와 상처들을 마주하기 위해 분투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운이 좋아 살아남았다'고 여기면서 오랫동안 죄책감과 자기혐오에 시달렸습니다.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죽음에 대한 분노도 들끓었다. 책에서 그는 "(희생자에게는) 사과하고, (책임자에게는) 사과받고싶었다"고 썼습니다.
자신의 고통을 ‘자원화’하여 쓴 이 책으로 사회적 참사가 개인의 삶을 어떻게 무너뜨리는지 증언하고 있습니다.
또 참사 이후 이어진 ‘놀러 가서 죽은 것’이라는 비난의 목소리, ‘이태원은 위험한 곳, 핼러윈은 근본 없는 귀신 축제’라는 낙인찍기 등 2차 가해를
온몸으로 겪으며 재난 참사에 노출된 개인의 고통에 사회가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 인간성을 잃지 않는 사회란 무엇인지 질문을 던집니다.
저자 소개를 해주시죠.
저자 김초롱 씨는 1990년생, “방송 일을 하면서 운 좋게 쓴 책 한 권으로 마이크를 잡고 글을 쓰며 밥벌이를 했다.
답답한 한국 사회에서 개인이 행복해지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며 살아왔다”고 소개합니다.
지난 19일 서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책에 대해 "슬프고 우울한 얘기가 없진 않지만 마지막엔 모두가 웃을 수 있는 책"이라며
"참사에 국한되지않고 한 개인이 살아가면서 한번쯤 맞닥뜨릴 고통에 관한 이야기를 썼다. 누구나 재난을 겪을 수 있다는 걸 전달하고 싶었다"면서
“부모님 세대가 이 책을 많이 읽어줬으면 한다"고 말했습니다.
“참사 이후 1년이라는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힘은 '연결감'이었다”는 저자는 주변의 진심 어린 관심과 따뜻한 지지 덕분에 위험한 순간들을 넘길 수 있었다고 털어놓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