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오늘은 어떤 주제일까요?
A: 사람을 흔히 사회적인 동물이라고 하죠. 사람은 누구나 사람과 관계를 맺고 서로 어울려 살아갑니다. 그래서 어떤 심리학자는 인간에게 식욕, 성욕, 수면욕 같은 본능과 함께 누군가와 관계를 맺고자 하는 관계추구 욕구 역시 본능에 가깝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에게는 이런 사회적인 관계 맺기가 너무나 고통스러운 사람들이 있습니다. 단순히 수줍음이 많은 수준을 넘어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모든 사회적 상황을 두려워하고 회피하는 사람들을 말하는 [사회 불안장애]에 대해서 오늘은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Q: 사회불안장애라 알 듯, 모를 듯한데요? 혹시 무대공포증이나 마이크울렁증 같은 것을 말하나요? 주변에 보면 유독 이런 상황에서 목소리가 떨리거나 불안해하는 경우를 사람들이 있지만
누구나 조금씩은 그런 면이 있지 않나요?
A: 무대공포증이나 마이크울렁증같은 경우도 일종의 사회불안장애라고 할 수 있는데요. 문제는 그 정도의 차이가 매우 크고, 또한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은 좀 더 광범위한 상황에서 불안을 느끼는 데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인은 사회적 상황에 대한 어느 정도의 불안감이 정상적인 데 반해, 사회불안장애를 가진 사람은 그 불안이 매우 심해 사회적 상황을 최선을 다해 피하거나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극심한 고통을 느끼면서 참아냅니다. 또한 단순히 남들 앞에서 발표를 하는 수준의 이벤트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어색한 사람들과 식사하기’, ‘다른 사람들이 듣는 곳에서 전화하기’,‘새로운 사람 만나서 대화하기’, ‘다른 사람이 있는 상황에서 공중화장실 이용하기’, ‘여러 명이 같이 단체 사진 찍기’ 등 타인과 함께하는 거의 모든 일에 대해 두려움을 느낍니다.
Q: 그렇다면 구체적인 증상이 어떻게 되나요?
A: 사회 불안장애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당황할 가능성이 있는 사회적 상황 또는 과제를 수행하는 상황에 대해 현저하고 지속적인 공포를 지닙니다. 흔히 사회적 상황에서 남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받는 것, 모욕당하는 것, 당황하는 것을 상상하며 두려워합니다. 또 한가지 중요한 사실은 이렇게 자신이 지나치게 긴장하고 불안해 한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알아챌까봐 미리 걱정하고 이것이 더욱 불안을 증폭시켜 계속적인 불안의 악순환을 일으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둘째, 이와 같은 사회적 상황에 노출되면 거의 빠짐없이 즉각적 신체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얼굴이 빨개지고 근육이 긴장하며 심장 박동도 빨라지고 손발이 떨리기도 하고 소화가 안 되고 배가 아프기도 하며 심한 경우에는 정신이 혼미해지기도 합니다. 셋째, 사회 불안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불안이 비합리적이거나 과도하다는 것을 잘 인식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상황을 두려워할 이유가 없다는 것은 알지만 그런 상황에 대한 두려움을 버릴 수 없습니다. 넷째, 이런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여 순간적으로 불안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사회 불안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면 학업부진이나 승진 실패같은 사회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
Q: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A. 크게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같은 상담치료로 나누어 집니다. 물론 두 가지를 동시에 할 때 가장 효과가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는 사회적 상황에서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을 줄여주어 즉각적이고 빠른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치료 초기에 매우 유용한 치료입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병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담치료가 병행되어져야 하는 데 여기에서 중요한 원칙이 있습니다. 사회불안장애 환자는 자신이 사람들에게 부정적으로 보일 것을 지나치게 걱정하는 데 자신이 또한 스스로 그런 사람이라는 자기 확신이 부족한 점이 주 원인입니다. 제가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에게 꼭 하는 말인데 열 명의 사람이 있다면 그 중 한,두명은 이유없이 나를 좋아하고 또 한,두명은 이유없이 나를 싫어하며 나머지 사람들은 나에게 전혀 관심이 없다는 사실입니다.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은 모든 사람들에게 부정적 평가를 받지 않아야 한다는 지나친 기대감 때문에 발생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어떤 평가를 하던지 ‘나는 나다’라는 신념을 회복하는 것이 상담치료의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