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 한국형 청소차.(안전보건공단 제공)
최근 5년간 사망한 환경미화원이 28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매년 50명 이상이 숨지고 있는데도,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지자체의 투자는 부족한 상황입니다.
■근무 중 다친 부상자도 3만 명 육박
2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에서 받은 '환경미화원 사고 발생과 재해 승인 현황'을 보면, 최근 5년간 280명의 환경미화원이 사망했습니다.
사망자 가운데, 230명이 산업재해로 승인을 받았습니다.
사망자 수는 2019년 73명에서 2020년 62명, 2021년 51명으로 감소하다가 지난해 67명으로 다시 늘어났습니다.
올해는 7월 말까지 27명이 사망했습니다.
같은 기간 발생한 부상자도 3만 명이 넘습니다.
3만 358명이 다치고, 2만 9129명이 산재로 인정받았습니다.
■사고 예방 '한국형 청소차' 도입 지지부진
이처럼 환경미화원 안전사고가 줄지 않자, 범정부 대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나오고 있습니다.
2018년 1월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고용노동부 등 6개 정부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공동으로 '환경미화원 작업 안전 개선대책'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2022년에는 안전사고 발생 건수를 2017년보다 90% 줄이겠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대표적인 대책이 차량 뒤편 발판 대신 타고 내릴 공간을 별도 마련한 '한국형 청소차' 보급이었습니다.
그러나 '한국형 청소차' 도입은 지지부진합니다.
대전과 울산, 세종은 한국형 청소차가 단 한 대도 보급되지 않았습니다.
충북(1대)과 제주(2대), 부산(3대), 서울(7대) 등도 도입 속도가 더딘 실정입니다.
가장 많은 한국형 청소차를 보급한 지자체는 전북(37대)이고, 강원과 전남(각각 35대), 경기(33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현장에서는 한국형 청소차가 기존 차량보다 용량이 적고, 차체가 커 골목 수거에 부적합하다는 이유로 도입을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의원은 "환경미화원은 지금도 위험에 내몰리고 있고 사망, 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지만 대대적으로 마련한 정책은 여전히 현장과 괴리가 있다"며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과 점검이 시급하다"고 지적했습니다.